TOP
ESG채권이란?
ESG채권은 발행자금이 친환경 또는 사회적 이득을 창출하는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채권으로 녹색채권, 사회적채권, 지속가능채권, 지속가능연계채권을 지칭합니다. 또한 발행자와 시장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Thematic채권, Social Impact 채권, 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채권이라는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녹색채권(Green Bond, 그린본드)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프로젝트나 사회기반시설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
사회적채권(Social Bond, 소셜본드)
사회가치 창출 사업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
지속가능채권(Sustainability Bond)
환경 친화적이고 사회가치를 창출하는 사업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
지속가능연계채권(Sustainability-Linked Bond)
발행기관이 사전에 정한 지속가능(ESG) 목표 달성 여부에 따라 재무적 및/또는 구조적 특성이 변경될 수 있는 채권
발전연혁
발전연혁
연도 내용
1972 유엔환경계획(UNEP : UN Environment Program) 발족
1991 유엔환경계획(UNEP) 금융 이니셔티브(Finance Initiative) 발표
2007 유럽투자은행(EIB : European Investment Bank) 녹색채권 세계 최초 발행
2008 세계은행(World Bank) 녹색채권 최초 발행
2013 한국수출입은행, 한국물(해외발행) 녹색채권 최초 발행(미화 5억달러)
2014 국제자본시장협회(ICMA), 녹색채권 원칙(Green Bond Principles) 발표
(이후 해당 원칙에서 사회적채권 원칙, 지속가능채권 가이드라인 분리)
2015 국제연합(UN), 지속가능발전목표(17개) 제시
2018 산업은행, 국내발행(등록기준, 이하 같음) 녹색채권 최초 발행(3,000억원)
산업은행, 국내발행 사회적채권 최초 발행(3,000억원)
한국수출입은행, 국내발행 지속가능채권 최초 발행(3,500억원)
2019 대한민국 정부, 한국물(외평채) 녹색 및 지속가능 국채 발행(미화 5억불)
사회책임투자채권 전용 세그먼트(현 ESG채권 정보플랫폼) 운영지침 제정
2020 6월 : 한국거래소(KRX) SRI 전용 세그먼트 오픈(현 ESG채권 정보플랫폼) / 국제자본시장협회(ICMA), 지속가능연계채권 원칙(Sustainability-Linked Bond Principles) 발표
8월 : 녹색금융TF 발족(금융위‧환경부등 정부부처, 유관기관, 정책금융기관, 민간금융기관, 자문단 등으로 구성)
12월 : 녹색채권 가이드라인(K-GBG) 제정(환경부, 금융위원회,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한국거래소 공동)
2021 4월 : SRI채권 전용 세그먼트(현 ESG채권 정보플랫폼) 상장잔액 100조원 돌파
8월 : 대한민국 정부, ESG 인프라 확충방안 발표
10월 : 대한민국 정부, 아시아 정부 최초 유로화 녹색채권 발행(7억 유로)
12월 :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Taxonomy) 가이드라인 발표(환경부)
2022 6월 : SRI채권 전용 세그먼트(현 ESG채권 정보플랫폼) 신규 상장금액 200조원 돌파
9월 : 지속가능연계채권 ESG채권으로 도입
12월 : 한국형 녹색채권 가이드라인(K-GBG) 및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Taxonomy) 개정
ESG채권 원칙
ESG채권에 대한 국제 기준으로는 국제자본시장협회(International Capital Markets Association, ICMA)에서 발표한 녹색채권 원칙(Green Bond Principles, GBP), 사회적채권 원칙(Social Bond Priciples, SBP), 지속가능채권 가이드라인(Sustainability Bond Guidelines, SBG), 지속가능연계채권 원칙(Sustainability-Linked Bond Principles, SLBP), 국제기후기구(Climate Bond Initiative, CBI)에서 발표한 기후채권 기준(The Climate Bond Standards, CBS) 등이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녹색채권에 대한 국내 최초 안내서인 녹색채권 가이드라인이 2020년 12월 제정되었고, 2022년 12월 한국형 녹색채권 가이드라인으로 개정되었습니다.
녹색채권 원칙(The Green Bond Principles, GBP), 사회적채권 원칙(The Social Bond Principles, SBP) 및 지속가능채권 가이드라인(Sustainability Bond Guidelines, SBG)
조달자금사용(Use of Proceeds) 기반의 녹색채권, 사회적채권, 지속가능채권 발행에 관한 자발적 프로세스 가이드라인으로 4개 핵심 구성요소(자금의 용도, 프로젝트 평가 및 선정 절차, 자금의 관리, 사후보고)로 구성
지속가능연계채권 원칙(Sustainability-Linked Bond Principles, SLBP)
일반적 기업활동(General Corporate Purpose) 기반의 지속가능연계채권 발행에 관한 원칙으로 5가지 핵심 구성요소(KPI, SPT, 채권의 특성, 보고, 검증)로 구성
기후채권 기준(The Climate Bond Standards, CBS)
채권 또는 기타 채무상품의 녹색채권으로서의 자격을 검증하기 위한 기준으로 녹색채권 원칙과의 연계를 토대로 자금사용·추적·보고에 대한 명확한 의무사항, 저탄소 및 기후적응 프로젝트· 자산의 적격성에 대한 구체적 기준, 독립적 검증자 및 명확한 절차로 구성된 인증체계, 독립된 기후채권표준 이사회(Climate Bond Standard Board)에 의한 인증 등으로 체계로 구성
한국형 녹색채권 가이드라인(Green Bond Guidelines, K-GBG)
환경부, 금융위원회, 환경산업기술원, 한국거래소가 공동 제정한 녹색채권 안내서로 녹색채권의 개요, 발행절차, 외부검토기관 등록, 투자자 유의사항, 부속서 등 으로 구성
기대효과
발행기관 이점
  1. 지속가능경영 고도화
    ESG 외부검토 및 인증 과정을 통해 지속가능경영 체제로의 정비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특히, ESG채권의 발행은 ESG 활동 평가항목의 지표로도 활용되므로 중장기적으로 외부검토기관의 ESG 평가의 향상으로 이어져 기업가치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 기업 이미지 제고
    ESG채권 발행을 통해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 발전목표에 부합하는 프로젝트 추진을 사회에 알림으로써, 해당 기업의 명성, 사회공헌 관련 기업이미지 및 브랜드가치 등을 적극적으로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ESG 투자자로부터의 자금조달 용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중시하는 글로벌 투자자로부터 투자자금을 조달하는데 보다 유리합니다. 또한 국내 연기금과 민간 기관투자자들도 사회책임투자를 확대해 가고 있습니다. 이미 일반채권과 비해서도 수요가 높아 자금조달에 보다 용이합니다.
투자자 이점
  1. 지속가능성장에 대한 기여와 투자 이익의 동시 추구
    사회책임투자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채권에 적극적으로 투자함으로써 ESG채권이 제공하는 안정적 투자수익(이자, 원금)을 추구하는 동시에, 환경개선, 사회가치 창출 등 지속가능한 사회 실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2.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참여
    국제협약 등을 근거로 기관투자자들은 지속가능 프로젝트에 대한 의무 투자수요가 있을 수 있습니다. ESG채권에 투자함으로써 이러한 의무를 충족할 수 있습니다.
  3. 대체투자를 통한 위험관리
    ESG채권은 특수 목적의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채권으로써 대체투자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이는 상관관계가 낮은 전통적 자산과 함께 투자되는 경우 분산효과를 통해 투자위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사회적 이점
  1. 환경보호에 기여
    그린프로젝트에 대한 활성화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 대기오염 방지, 지구온난화 방지 등 환경 보호에 이바지할 수 있습니다.
  2. 지속가능사회 건설에 공헌
    ESG채권이 투자하는 지속가능 프로젝트가 효과적으로 추진되면 에너지 절감, 환경 보전, 사회가치 개선 등의 사회․경제적 문제 개선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나아가, 국가 전체적으로 사회책임투자의 필요성에 대한 환기와 각성을 통해 우리 경제 전체의 지속가능성장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ESG·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거래소의 지원
거래소는 그간 상장기업의 사회적책임 확산과 녹색금융 및 지속가능금융 활성화를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 2010년, ESG 정보공시에 대한 기준 도입
  • 2015년, SSE Initiative 가입
    Sustainable Stock Exchanges(SSE) Initiative : 거래소를 통해 기업의 환경(Envrionment)․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지배구조(Governance)를 장려하기 위해 UN 주도로 발족
  • 2015년, ESG지수 발표 등 관련 지수상품 개발
  • 2020년, 사회책임투자채권 전용 세그먼트(현 ESG채권 정보플랫폼) 개설
  • 2020년, 한국형 녹색채권 가이드라인 공동 제정, ESG채권 신규상장수수료 및 연부과금 3년간 면제
  • 2022년, 지속가능연계채권 도입
  • 2023년, ESG채권 신규상장수수료 및 연부과금 2년간 추가 면제(~'25.6.14)
향후에도 ESG·지속가능경영 활성화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